애저 CLI 시작하기
애저 리소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는 애저 파워셸이 주로 쓰였다면, 이제는 파워셸보다는 좀 더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애저 CLI를 써 볼 차례가 아닌가 한다. 물론 최근에 애저 파워셸...
애저 리소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는 애저 파워셸이 주로 쓰였다면, 이제는 파워셸보다는 좀 더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애저 CLI를 써 볼 차례가 아닌가 한다. 물론 최근에 애저 파워셸...
이전 포스트에서는 phpMyAdmin이라는 웹 기반 MySQL 관리 도구를 애저 웹 앱에 설치하는 요령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번에는 애저 웹 앱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애저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지난 2017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Build 행사에서 애저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MySQL 데이터베이스는 보통 phpMyAdmin이라는 웹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를 많이 사용하는 편이라서, 이번에 마침 애저 웹...
Swashbuckle 이용시 알아두면 좋을 소소한 팁 #1 Swashbuckle 이용시 알아두면 좋을 소소한 팁 #2 Swashbuckle 이용시 알아두면 좋을 소소한 팁 #3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 포스트에서는 Swashbuckle 라이브러리를...
Swashbuckle 이용시 알아두면 좋을 소소한 팁 #1 Swashbuckle 이용시 알아두면 좋을 소소한 팁 #2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 포스트에서도 Swashbuckle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Swagger 문서를 작성할 경우 필요한 확장...
ASP.NET Web AP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Swagger 문서 생성이다. Swashbuckle을 사용하면 이 작업을 굉장히 손쉽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라이브러리는 Swagger 스펙을 100% 구현하지...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하기 – 애저 펑션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하기 – 로직 앱 이 포스트에서는 Azure Logic Apps 애저 로직 앱을 작성할 때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를 할 수 있는지에...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하기 – 애저 펑션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하기 – 로직 앱 이 포스트에서는 C# 코드로 Azure Functions 애저 펑션을 작성할 때 테스트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도입할 수...
이 포스트에서는 애저 펑션과 Application Insights를 연동시킬 때 적용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Azure Functions (애저 펑션)는 자체적으로 TraceWriter 인스턴스를 통해 로깅 기능을...
얼마전 Azure Functions(애저 펑션)에 Swagger로 알려진 OpenAPI 지원 기능이 추가됐다. 애저 펑션을 API로 사용할 경우 굉장히 유용한 기능인데, 이 포스트에서는 어떻게 Swagger를 연동시킬 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는 API로 메시지를 주고 받게 마련이다. 이런 API는 단순히 요청(Request)을 던져서 응답(Response)을 기다리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좀 더 긴 처리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하나의 워크플로우...
애저 로직 앱은 애저 서비스를 이용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서버리스 서비스 중 하나이다. 물론 다른 하나는 애저 펑션이다. 로직 앱은 API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이용해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면 서비스간 메시지 교환은 API를 이용한다. 이런 API를 개발할 때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하나는 모델 우선 (Model First) 개발...
어떤 기업이 자사의 IT에 투자할 때 처음에는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센터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쳐에 거의 대부분의 비용을 소비했다면, 시간이 지나 웹 호스팅 환경에서 공간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는 방식으로, 이제는 클라우드...
지난 2016년 12월 초에 애저 펑션과 관련한 Visual Studio (VS) 툴링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 하지만 설치 안하는 것이 차라리 나을 만큼 버그도 많을 뿐더러, 현재 로드맵에서는 .NET Standard...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현에서 핸드폰의 카메라에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HTML5의 getUserMedia API를 이용해 핸드폰의 카메라에 접근해 봤다. 하지만 이 API는 모바일 장치의 모든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것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필연적으로 맞닥뜨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몇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 관리(Dependency Control)이다. 백엔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양한 제어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적용이...
지난 포스트에서 HTML5 getUserMedia() API를 이용해서 핸드폰의 카메라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이번에는 핸드폰의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geolocation)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 포스트에 쓰인 샘플...
지난 포스트에서는 Vue.js와 TypeScript를 ASP.NET Core 애플리케이션에서 작동시키는 예제를 진행해 보았다. 이제 실제로 모바일 웹 앱을 개발해 볼 차례이다. HTML5를 지원하는 모던 웹 브라우저는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의 멀티미디어...
비주얼스튜디오(VS)로 ASP.NET 혹은 ASP.NET Core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IIS Express이다. F5 키를 눌러 디버깅을 할 때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항상 IIS Express를...
지난 포스트에서는 ASP.NET Core 애플리케이션 위에서 Vue.js 프레임워크를 결합하는 것에 다뤘다. VueJs는 자체적으로 타입스크립트를 지원하므로 손쉽게 타입스크립트의 장점을 이용해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VueJs를 이용한...
Vue.js는 최근에 나온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서 다른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에 비해 굉장히 가볍고 상대적으로 러닝커브가 낮은 편이다. ASP.NET Core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 Angular2, Aurelia, React, Knockout 등 –...
지난주에 AWS의 연례 행사중 하나인 re:Invent 행사가 열렸다. 엄청나게 많은 신제품 및 신기술이 쏟아졌는데 실제로 이를 Azur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비교한 기사는 많지 않다. 마침 캐나다에서 Azure MVP로 활동하는...
회사에서 홀로렌즈를 던져주는 바람에 운 좋게도 이것저것 만져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덕분에 지난번 멜번 개발자 밋업에서 발표할 거리도 생겼으니 일석이조. 발표를 하면서 홀로렌즈 데모를 해야 하는데 실제로...
파워셸로 스크립트를 작성하다보면 흔히 만나는 여러 가지 상황들이 있다. 하나는 파란 바탕 화면에 시뻘건 에러 메시지들, 다른 하나는 보여주고 싶지 않은 수많은 실행 결과 값들. 어떻게 하면 이런...
최근까지 마크다운 에디터로 MarkdownPad 2 Pro를 유료 버전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4년 12월에 2.5 버전이 나온 이후 전혀 업데이트가 되질 않는데다가 윈도우 10 에서는 고해상도 지원이 제대로 되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