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사용자를 위한 애플 키보드 레지스트리 설정
애플 제품에 포함된 키보드를 쓰다보면 윈도우 사용자들이 당황하기 쉬운 것이 바로 기능키 배열이 기존의 윈도우용 키보드와 사뭇 다르다는 점이다. 윈도우 애플 왼쪽 콘트롤키 왼쪽 콘트롤키 왼쪽 윈도우키 왼쪽...
애플 제품에 포함된 키보드를 쓰다보면 윈도우 사용자들이 당황하기 쉬운 것이 바로 기능키 배열이 기존의 윈도우용 키보드와 사뭇 다르다는 점이다. 윈도우 애플 왼쪽 콘트롤키 왼쪽 콘트롤키 왼쪽 윈도우키 왼쪽...
서버리스 세상에서 우리는 서버를 전혀 셋업할 필요가 없다. 단지 펑션이라고 불리는 코드만 신경 쓰면 될 뿐이다. 하지만 서버리스 세상에서 FaaS(Function as a Service) 제공자가 가진 주요 문제점(?)들 중...
이 글은 마틴 파울러의 웹사이트에 올라온 Serverless Architectures을 번역한 글입니다. 원문이 계속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보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겁니다. 2016년 6월 17일 마이크 로버츠...
Azure SDK for .NET는 아주어 서비스와 리소스들을 이용하는데 굉장히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에는 Application Insights (애플리케이션 인사이트) 역시 포함되어 있는지라 이를 이용하면 손쉽게 애플리케이션 인사이트 리소스 뿐만...
지난 포스트에서는 Amazon Linux(이하 아마존 리눅스)에 Mono(이하 모노)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모노가 리눅스 환경에서 C#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면 이제 .NET 코어...
C# 코드를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에서 Mono(이하 모노)는 .NET Core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모노는 리눅스는 배포판별로 다른 설치 방법을...
Azure Functions 서비스는 지난 3월 말 Build 2016 행사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스스로를 AWS Lambda 서비스(이하 람다)의 경쟁자로 포지셔닝하는 만큼 기능들이 거의 비슷하다. 다만 후발주자로서 더 많은 언어들을 지원하고...
AWS Lambda 서비스(이하 람다)는 서버가 필요 없는 이벤트 방식의 서비스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개발자들이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셋업할 때 굉장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서비스이다. @usefulparadigm님께서 AWS Lambda와 API...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1 –...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1 –...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1 –...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1 –...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1 –...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1 –...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애플리케이션 빌드 자동화 – DNU...
이 포스트는 Microsoft Azure를 활용한 DevOps 시리즈입니다. 배포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계정 생성 – Service Principal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생성 자동화 – ARM Templates 이전 포스트 1 이전 포스트...
이 포스트는 ASP.NET Core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몇가지 팁과 트릭들을 소개하는 포스트들 중 네번째입니다. IoC 콘테이너로써 Autofac 사용하기 Web API 요청/응답 직렬화/비직렬화 Web...
Azure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기능들 중 하나가 바로 API 매니지먼트 (APIM)이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구현한다거나, 혹은 여러 API를 운영한다면 API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개의 endpoint 보다는 하나의 통합된 endpoint가 있을 때...
이 포스트는 ASP.NET Core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몇가지 팁과 트릭들을 소개하는 포스트들 중 두번째입니다. IoC 콘테이너로써 Autofac 사용하기 Web API 요청/응답 직렬화/비직렬화 Web...
이 포스트는 ASP.NET Core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몇가지 팁과 트릭들을 소개하는 포스트들 중 세번째입니다. IoC 콘테이너로써 Autofac 사용하기 Web API 요청/응답 직렬화/비직렬화 Web...
이 포스트는 ASP.NET Core 프레임워크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몇가지 팁과 트릭들을 소개하는 포스트들 중 첫번째입니다. IoC 콘테이너로써 Autofac 사용하기 Web API 요청/응답 직렬화/비직렬화 Web...
지난 포스트 AppVeyor를 이용한 지속적인 통합, 빌드 및 배포에서는 간단하게 AppVeyor를 통해 소스코드를 빌드하고 테스트한 후 배포까지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포스트는 그의 연장선 상에 있으며, 특히...
최근 MS가 발표한 Microsoft Graph는 오피스 365 리소스들을 단일 엔드포인트를 통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게 했다. 기존의 수많은 엔드포인트들을 하나로 통합했다는데 굉장한...
Azure의 다양한 리소스들을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들을 Azure Active Directory (AAD)에 우선 등록시켜야 한다. 이렇게 등록한 애플리케이션은 아주어의 리소스들을 AAD에서 설정한 권한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SI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단순히 새 애플리케이션만 개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통합해야 하는 시나리오가 대부분이다. 이번 포스트에서 다룰 주제는 그러한 시스템 통합 시나리오들 중 MS...
최근에 Azure에서는 리소스 관리를 위한 새로운 파워쉘 커맨들릿(cmdlet)들을 추가했다. 기존의 커맨들릿과는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이 포스트에서는 새로운 커맨들릿들 중 리소스 관리를 위한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주어 리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