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ular의 의존성 주입 이해하기 – @Inject, @Injectable, 토큰과 프로바이더
Todd Motto의 글 Mastering Angular dependency injection with @Inject, @Injectable, tokens and providers를 번역했다. Angular 내에서 의존성 처리를 위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내부적인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Angular의...
Todd Motto의 글 Mastering Angular dependency injection with @Inject, @Injectable, tokens and providers를 번역했다. Angular 내에서 의존성 처리를 위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내부적인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Angular의...
새로 옮긴 회사에서 열심히 레거시를 정리하고 있다. 기존 코드는 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인하우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이 포스트는 Mark Seemann의 Service...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필연적으로 맞닥뜨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몇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 관리(Dependency Control)이다. 백엔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양한 제어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적용이...
최근에 의존성 주입을 알게되어서 (신나서?) 마구마구 의존성을 주입하다보니 한 클래스를 생성하는데에 너무 많은 의존성을 주입하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가장 많은 건 13개까지… 그래서 과연 내가 잘하고 있는 것이 맞나...
지난 포스트에서는 FluentValidation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유효성 검사 로직에 대해 어떻게 유닛테스트를 진행하는지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 보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FluentValidation 라이브러리를 아예 IoC 콘테이너에 넣어서 좀 더 깔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