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UnitTest: Martin Fowler
마틴 파울러의 UnitTest를 번역 했습니다. 영어 실력이 일천해 오역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의견 주시면 적극적으로 반영하겠습니다. Unit testing is often talked about in software development, and is a...
마틴 파울러의 UnitTest를 번역 했습니다. 영어 실력이 일천해 오역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의견 주시면 적극적으로 반영하겠습니다. Unit testing is often talked about in software development, and is a...
어느덧 지금 회사에 다닌지도 1년이 넘었다. 근래 이 곳에서 별로 해둔 일이 없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그래서 이력서를 정리하거나 면접에서의 내 모습을 상상할 때도 딱히 무슨 말을 해야...
실은 여기서부터가 실제 튜토리얼의 내용이다. 이전 포스트 2개는 이 포스트를 이해/진행하기 위한 내용이었다. 동시성을 보장하지 않는 소켓 서버 먼저 동시성을 보장하지 않는 소켓 서버 부터 작성해보자. import socket...
그럼 우리의 대안인 제너레이터가 언어 레벨에서 과연 무엇인지 알아보자. 이터러블, 이터레이터 제너레이터를 이해하려면 먼저 이터러블/이터레이터의 개념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터러블: __iter__() 또는 __getitem__() 메소드가 구현되어 있고 (빌트인 함수...
이 포스트 시리즈는 김준기님의 Pycon KR 2018의 튜토리얼 세션을 복습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Python의 asyncio 패키지는 싱글 쓰레드 환경에서 매끄러운 동시성 구현을 위해 3.5 버전부터 추가되었다. 파이썬의 제네레이터를 이용해...
서버리스를 향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나도 이걸로 무언가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종종 하곤 했다. 그러다가, 최근에 매일 아침 출근을 준비하면서 네이버에서 날씨 영상 뉴스를 검색하고 틀어놓는데,...
지난 포스트에서는 Gollum과 Docker를 이용해서 위키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해보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위키를 인터넷에 호스팅 해보자. 사용할 서비스들 고대디 GoDaddy: 도메인 구입 디지털오션 DigitalOcean: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클라우드플레어 Cloudflare: SSL...
마크다운 기반의 블로그(정적 사이트 생성기)는 많지만 마크다운 기반의 위키는 생각보다 많지 않은데, Gollum을 이용하면 git & 마크다운 기반의 위키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이 포스트에서는 골룸과 Docker를 이용해서...
작년 11월, 구글 번역 서비스가 신경망 학습을작년 11월, 구글 번역 서비스가 신경망 학습을 적용해서 개편되었다. (관련기사) 벌써 서너달이 지난 일이지만, 현재까지도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 너무 잘되서 놀람...